SKT 유심보호서비스 해외거주자는 어떡해야하나요 ? 이번 SKT 해킹 사건으로 아래사항이 궁금합니다...
이번 SKT 해킹 사건으로 아래사항이 궁금합니다...
안녕하세요.
해외에 계신 상황에서 이런 복잡한 문제를 마주하시다니,
얼마나 답답하고 불안하실지 마음이 다 느껴집니다.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싶어 정확하게 답변드릴게요.
▶ 질문 정리 및 답변
1) "ZNGME0006" 에러가 뜨면서 유심보호서비스 신청이 안 되는 이유는?
- 이 오류는 **회선 상태가 '정상(active)'이 아닐 때** 발생합니다.
- 질문자님은 현재 **'일시정지'** 상태라서, 시스템상 "보호 서비스 가입 불가" 처리가 되는 거예요.
- 유심안심(보호) 서비스는 '현재 정상 사용 중인 회선'에만 적용 가능합니다.
2) 일시정지 상태면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이 불가능한가요?
- **네, 일시정지 상태에서는 가입이 불가**합니다.
- 회선을 '정상'으로 복구하면 가입이 가능한데,
해외에 계신 상황에서는 굳이 복구 → 가입 절차를 밟을 필요는 없어요.
(비용 문제도 생길 수 있고, 실질적인 추가 위험이 낮기 때문입니다.)
3) 일시정지 상태면 유심 복제 피해 가능성은?
- **거의 없습니다.**
- 일시정지 상태는 말 그대로 **'회선 사용 자체가 차단된 상태'**라,
설령 누가 유심을 복제했다 하더라도 회선을 이용해 추가 피해를 주기가 어렵습니다.
- 특히 통화, 문자, 인증 등도 막혀 있어서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아요.
▶ 추가로 해외 거주자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대응
- 혹시 불안하시다면,
▶ SKT 고객센터(로밍 전용 +82-2-6343-9000)로 전화해서 "명의 보호 요청"을 별도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.
- 또는 나중에 귀국 후 바로 유심 재발급, 회선 복구 절차를 밟으면 됩니다.
요약하면
일시정지 상태라 유심보호 서비스 신청이 안 되는 건 정상입니다.
일시정지 상태면 해킹 추가 피해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.
너무 불안해하지 마시고, 나중에 귀국하실 때 새 유심으로 바꾸면 충분합니다!
정말 이해가 되는 게, SKT에서도 해외거주자 대처방안을 명확하게 안내해주지 않아서
답답하고 불안한 마음이 드셨을 것 같아요...
하지만 질문자님처럼 차근차근 확인하고 대비하고 계시니, 충분히 안전하게 지키고 계신 거예요.
혹시 더 궁금한 부분이나 "귀국 후 유심 교체 절차" 같은 것도 필요하시면
언제든 편하게 추가 질문 주세요!
추가로 참고하면 좋은 글도 아래에 남길게요. 더 깊은 내용은 여기서 확인해보세요!